영동 박흥생 묘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본문
영동 박흥생 묘비(永同 朴興生 墓碑)는 충청북도 영동군 심천면 고당리에 있는 조선 전기의 문신 박흥생의 묘 앞에 있는 비석입니다. 1993년 11월 5일 충청북도 기념물 제88호로 지정되었습니다.
박흥생(朴興生, 1374~1446)
- 본관은 밀양(密陽), 자는 경부(敬夫), 호는 국당(菊堂)입니다.
- 세종 때 여흥교수(麗興敎授)를 시작으로 창평현감 등을 지냈습니다.
- 김자수(金子粹)에게서 학문을 배웠으며, 동생 박흥거(興居)와 함께 효자로 이름이 높았습니다.
묘비의 특징
- 1683년(숙종 9)에 세워졌습니다.
- 비문은 송시열(宋時烈)이 짓고, 글씨는 남구만(南九萬)이 썼습니다.
- 네모난 받침돌 위에 비몸을 세우고 지붕 모양의 머릿돌을 올린 형태입니다.
- 묘비에는 "有明朝鮮通訓大夫行昌平縣令 贈通政大夫工曹參議朴公諱興生 之墓 贈淑夫人忠州梁氏袝後 贈淑夫人載寧康氏 別葬巽方五里許新 寺洞戊坐辰向之原" (유명조선 통훈대부 행 창평현령 증 통정대부 공조참의 박공 휘 흥생 지묘 증 숙부인 충주양씨 부후 증 숙부인 재령강씨 별장 손방 오리허 신 사동 무좌 진향지원) 이라고 적혀 있습니다.
- 이는 "통훈대부로 창평현령을 지냈고 사후에 통정대부 공조참의로 추증된 박흥생의 묘이다. 묘 뒤편에 사후에 숙부인으로 추증된 그의 정실(正室) 충주 양씨가 묻혀 있고, 사후에 숙부인으로 추증된 후처(後妻) 재령 강씨의 묘는 손방 5리쯤에 위치한 신사동의 북서에서 남동 방향의 언덕에 자리하고 있다."는 뜻입니다.
기타 정보
- 박흥생 선생과 동생 박흥거의 효행을 기리기 위한 쌍효각(雙孝閣)이 세덕사(世德祠) 안에 있습니다.
- 박흥생은 단종복위운동에 가담하여 공주 동학사 숙모전 초혼각에 생육신과 함께 배향되었습니다.
영동 박흥생 묘비 - [유적/문화재]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이름 | 영동 박흥생 묘비 |
로마자 표기 | Yeongdong Bak Heungsaeng Myobi |
한자 표기 | 永同 朴興生 墓碑 |
국가 | 대한민국 |
위치 | 충청북도 영동군 심천면 고당리 산52-1번지 |
문화재 지정 정보 | |
유형 | 기념물 |
지정 번호 | 88 |
지정일 | 1993년 11월 5일 |
시대 | 조선시대 |
추가 정보 | |
참고 사항 | 영동 심천면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